Windows XP Pro (32Bit) 운영체제와 SuperSpeed RamDisk Plus v11.5 기준으로 작성 되었습니다.
1. 페이싱 파일 제거
(잦은 하드 쓰기를 작업을 없애서 하드를 수명연장하고 램을 더 부려먹으며 속도를 높이기 위함)
실행 > regedit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Session Manager > Memory Management를 클릭해서
DisablePagingExecutive 항목의 값을 '1'로 설정변경
제어판 > 시스템 > 고급 > 성능 > 설정 > 고급 > 가상 메모리 > 변경에 가서
"페이징 파일 없음"을 선택하고 옆에 있는 "설정"을 꼭! 눌러준다.
재부팅 메세지 나오면, 재부팅하면 됨.
2. 프로그램 설치
crack폴더에 있는 3개의 파일 [SscVF.sys] [zwt.cer] [zwt.ssc_scsv_key] 을 복사해서
C:\WINDOWS\system32\drivers 폴더에 넣어준다.
그리고 복사해 넣은 [zwt.cer]파일을 실행한다.
인증서를 설치 한다. (신뢰된 인증이냐 아니냐는 무시해도 됨)
재부팅 한다.
프로그램 파일 [rp11-5-desktop-x86.exe]를 설치한다.
keygen 폴더에 있는 [keygen.exe]를 실행
(Generate)를 누른다. (이때 파일 1개가 생성된다.)
(Patch)를 누른다.
재부팅 한다.
(Generate 누른 후) 생성된 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실행한다.
성공 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온다.
3. 프로그램 실행
바탕화면에 생성된 아이콘으로 프로그램을 실행
4. 램디스크 생성
File > Options 클릭
Use wizards 선택
아래의 Use advanced wizards 체크
[OK]
아이콘 바에서 +버튼(ADD)를 누르다.
[다음][다음]..
Speocify the size of the RAM disk, in : 380 MB
아래의 Zero memory when removed 항목 체크
[다음]
Partitionalbel - detected by Windows as a hard dis 항목 선택
[다음]
Create a partition table 체크
Create a partition table entry 체크
[다음]
Specify the drive letter to assign the RAM : Z
Specify the file system to format the RAM : NTFS
아래의 Create '\temp' folder 항목 체크
아래의 Compress file system 항목 체크
[다음]
Use associated image file 항목 체크 : C 선택 Location of associated image
[다음]
[마침]
램디스크가 생성 됨
(포멧은 하면 안됨. 선택사항 : "취소")
재부팅 후 램디스크 드라이브가 생성되면 성공한 것이고, 없다면 실패한 것임.
(실패 했다면 삭제하고 램디스크를 다시 만든다.)
5. 램디스크 활용을 위한 설정변경
제어판 > 시스템 > 고급 > 환경변수
(TEMP, TMP 변수를 Z드라이브로 변경)
시스템 환경변수
Z:\TEMP
Z:\TMP
사용자 환경변수
Z:\TEMP
Z:\TMP
크롬 Cache경로 변경
(크롬 종료 후!!)
C:\Documents and Settings\[컴퓨터 이름]\Local Settings\Application Data\Google\Chrome\User Data\Default\Cache
폴더의 파일을 모두 삭제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 실행
저장 > 디스크 관리로 이동
램디스크(Z드라이브) 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변경 선택
[추가]를 눌러주고,
비어 있는 NTFS 폴더에 탑재 항목의 경로에
C:\Documents and Settings\[컴퓨터 이름]\Local Settings\Application Data\Google\Chrome\User Data\Default\Cache
이 주소를 적고, [확인]을 눌러준다.
본래 Cache폴더의 아이콘이 드라이브 모양으로 변경되고, Cache를 클릭하면 램디스크(Z)로 연결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익스플로러의 도구 > 인터넷 옵션 > 일반탭 > (검색 기록의) 설정 클릭
디스크 용량 : 100 MB
폴더 이동을 클릭해서 Z드라이브로 설정
재부팅!
크롬 Download 경로 변경 (굳이 할 필요는 없음)
크롬 > 설정 > 고급설정 > 다운로드 위치지정 (Z:\Download)
[다른 방법]
구글 크롬의 실행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으로 클릭하여 속성창을 연다.
대상 항목의 내용 끝에 --disk-cache-dir="Z:\Chrome" 추가하고 확인
[Firefox] 파이어폭소 임시파일(캐시:Cache) 폴더 위치 변경하기
크롬 Download 경로 변경 (굳이 할 필요는 없음)
크롬 > 설정 > 고급설정 > 다운로드 위치지정 (Z:\Download)
[다른 방법]
구글 크롬의 실행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으로 클릭하여 속성창을 연다.
대상 항목의 내용 끝에 --disk-cache-dir="Z:\Chrome" 추가하고 확인
[Firefox] 파이어폭소 임시파일(캐시:Cache) 폴더 위치 변경하기
'컴퓨터 > 프로그램,각종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렌트(uTorrent) 고급설정(설명,설정값) (0) | 2013.01.26 |
---|---|
[Firefox] 파이어폭소 임시파일(캐시:Cache) 폴더 위치 변경하기 (0) | 2012.11.08 |
[스크랩] VirtualDub 필터들 설명 (0) | 2012.08.15 |
[버추얼덥] h264가 없다는 경고 메세지가 나올때 해결방법 (1) | 2012.08.09 |
★[동영상 편집] 버추얼덥(VirtualDub)을 이용한 동영상 회전 시키기 (0) | 201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