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족

존속, 비속 우리나라 친족법상 항렬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의미로 존속/비속, 직계/방계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단 기준점을 '나'라는 한 사람을 잡고 생각해 보기로 합시다. 존속이라는 용어는 말 그대로 높을 존(尊)자를 써서 나보다 항렬이 높은 사람을 말하는 것이고 비속이라는 용어는 낮을 비(卑)자를 써서 나보다 항렬이 낮은 사람을 말하는 것입니다. 또한 직계라는 용어는 나와의 관계가 부모와 자식관계로만 이루어진 경우를 말하고, 방계라는 용어는 나와의 관계속에 형제관계가 포함된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살펴 보면, 나의 부모님, 할아버지, 할머니, 증조부모, 고조부모 등은 모두 직계존속이고, 나의 자녀, 손자 손녀, 증손자녀 등은 직계비속입니다. 한편, 나의 삼촌, 이모, 고모, 당숙부, 당고모, 대고모할.. 더보기
자녀와의 대화기법 ◆ 대화란 무엇인가? 부모와 자녀 간에 보다 바람직한 관계를 가지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며 이와 같은 대화는 말하는 기술보다 태도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효과적인 대화 방식 1. 마음이 잘 통하는 대화를 하려면? 아이의 입장에서 듣습니다. 부모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돌려서 얘기하지 말고 분명하게 합니다. 자녀의 의견이 부모와 다를 때 끝까지 부모의 의견만을 관철시키려고 하지 않습니다. "너는 맨날 왜 그러냐?"는 식이 아니라, "나는 그럴 때 아주 충격받고 너가 걱정이 된 단다"는 식으로 '나'를 주어로 해서 전달합니다. 잔소리나 과거일을 들추는 것보다는 앞으로 변화되었으면 하는 대안을 이야기합니다. (예: "나한테 미리 이야기 해주면 걱정을 덜 할 것 같다") 2. 부모가 자녀와 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