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수

[스크랩] 오일러 감마함수와 리만 제타함수 에 대한 논문 출처 :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tock_new&no=2086482 더보기
C언어 함수 완벽 정리 [a] 24.1.1. abort() 24.1.2. abs() 24.1.3. absread() 24.1.4. abswrite() 24.1.5. access() 24.1.6. acos() 24.1.7. allocmem() 24.1.8. arc() 24.1.9.asctime() 24.1.10. asin() 24.1.11. assert() 24.1.12. atan() 24.1.13. atan2() 24.1.14. atexit() 24.1.15. atof() 24.1.16. atoi() 24.1.17. atol() [b] 24.1.18. bar() 24.1.19. bar3d() 24.1.20. bdos() 24.1.21. bdosptr() 24.1.22. bioscom() 24.1.23. biosdisk() 24.. 더보기
C언어 :: realloc함수 realloc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를 재할당합니다. Declaration void *realloc( void *memblock, size_t size ) Return value 성공 - 새로운 메모리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터 반환 실패 - NULL 포인터 반환 Parameters memblock - NULL 포인터 또는 이전에 할당한 메모리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터 size - 새로 할당받을 메모리 크기(단위는 바이트) Detail descriptions realloc()를 번역할 때 "재할당" 또는 "다시 할당"이라고 하는데 많이 어색합니다. 다시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할당된 메모리 영역의 크기를 변경, 대부분은 확장하는 것입니다. 정확하게 이름을 짓는다면 extendalloc()정도가 좋겠습니다. 굳이.. 더보기
[C언어] 함수 - 함수 만들기 1 함수 만들기 이제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기본적인 단계로 간단한 함수를 만드는 작업에 대해서 익히도록 합시다. 프로그래밍을 할 때에는 크게 구도를 잡고 이를 쪼개고 다시 쪼개는 방법에 의한 top-down방식과 작은 부분에 대한 구현을 한 뒤에 이들을 조합을 해 나가는 방법에 의해 bottom – up 방식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코드를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코드와 개발자 정의 코드로 구분을 한다면 개발자가 정의하는 코드에 대한 구현을 함에 있어서는 top-down방식을 사용을 하는 것이 추세이며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코드에 한해 부분적인 bottom-up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우리가 만드는 부분은 top-down방식이라고 생각을 하더라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물론, 프로그램을 설.. 더보기
[C언어] 함수 - 매개변수 전달하기 1.2 함수의 매개변수 함수의 정의를 특정한 기능을 하는 일련의 로직이라 할 수 있는데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수가 필요할 것입니다. 이러한 인수 중에 호출하는 함수에서 초기 값을 전달하는 것을 입력매개변수로 내부에서 임시적으로 사용할 것은 지역변수를 통해 처리를 합니다. 또한, 해당 함수가 수행하고 난 후에 호출한 함수로 전달할 결과값을 리턴을 통해 전달해 줍니다. int fnAdd(int first, int second) { int result =0; result = first + second; return result; } 예를 들어 위와 같이 두개의 수를 더하는 함수가 있다고 한다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두개의 수를 입력받아야 하고 두 수를 더한 결과값을 되돌려 주어야 할 것입니다. in.. 더보기
[C언어] 함수의 흐름 1.1 함수의 흐름 C로 작성된 프로그램의 흐름은 어떠한 원리로 이루어지는지 흐름을 살펴보기로 합시다. C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 초기화 작업이 진행된 후에 main함수에서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순차적으로 진행이 되는데 함수 호출 구문을 만났을 경우에는 호출된 함수를 수행하고 호출된 함수가 종료되면 호출한 함수의 호출구문 다음 구문부터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다음의 예제와 그림을 통해 간략하게 프로그램의 흐름을 파악해 봅시다. /* 함수의 포맷을 정의하는 선언부 */ void fnA(); void fnB(); void fnC(); void fnD(); void fnE(); void fnF(); /* 프로그램 함수부 */ int main() { fnA(); /* 함수의 호.. 더보기
[C언어] 함수 - 정의 0 함수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은 컴퓨터로 하여금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여기에서 각각의 기능들이 실제 소스에서 함수로 구현하게 되는데 C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에서 실제 컴퓨터가 수행하는 구문은 모두 함수내에 정의하게 됩니다. 이번 장에서는 먼저 함수에 대한 기본 문법사항과 함수를 만드는 과정, 그리고 해당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을 하기로 합시다. 1 함수의 정의 우리는 이미 많은 형태의 함수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산수에서 블랙박스라든지 중고등학교의 수학에서 y = x+2, 혹은 f(x)= x+2 등 뿐만이 아니라 특정 재료를 넣고 어떤 상품을 만들기 위한 기계 등 많은 곳에서 함수의 모습을 찾아 볼 수가 있습니다. C언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포맷으로 함수를 정의를.. 더보기
C언어 :: 파일 입출력 함수 (종류/사용법) 파일 입.출력파일 입.출력은 앞으로도 매우 중요하게 쓰이는 부분이다. 어떤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또 데이터를 어떤 파일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데이터 저장과 불러오기 기능을 구현한것읽기 / 쓰기 전용 , 읽기 / 쓰기 혼합 모드 기능파일을 열고 닫는 작업이 쌍으로 존재한다.[파일 오픈]// 성공시 해당파일의 포인터. 실패시 NULL 포인터 리턴* FILE *fopen(const char *filename, const char *mode) ;    - filename : 문자형 포인터로 사용할 파일 이름을 지정- mode     : 파일에 대한 접근 방식- 리턴값     : open 한 파일을 가리키는 파일 포인터mode 에는 기본적으로 r, w, a 가 있고 세부적으로 바이너리 코드(이진모드)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