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상식

식목일 유래에 대해서 ..

식목일에 유래
우리는 식목일을 그저 봄에 나무심는 날로 무의미하게 넘겨 왔으나 식목일은 신라가 당나라를 물리치고 삼국통일의 성업을 이룩한날 [문무왕 17년 2월 25일 (양력 4월 5일)이며, 조선 성종대왕이 세자와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동대문밖 선농단에 친사하고 적전을 친경한날[성종 24년 3월 10일(양력 4월 5일)]로서 청명과 한식날이 이날과 겹치거나 전후하여 있으므로 조상에게 성묘하고, 주변의 산이나 들에 나무를 심었던 것이 유래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와같이 식목일은 민족사적으로는 통일 성업을 완수하고 임금이 몸소 친경의 성전을 거행한 날로서 농림사적으로도 매우 뜻있는 날일 뿐만 아니라 계절적으로도 나무심기에 좋은 계절이기에 식목일로 정하게 된 것입니다.



- 식목일을 연표로 살펴보면
1910년 : 조선 순종께서 친경제 거행시 친식한 것이 유래
1911년 : 일제치하에서는 4월 3일을 식목일로 정함
1946년 : 광복이후 4월5일 식목일로 제정하고 기념행사는 서울시에서 주관함
1970년 : 식목일 기념행사를 산림청에서 주관함
1974년 : 산림청 주관하에 각 중앙부처 단위로 식목행사를 실시함
2000년 : 제 55회 식목일


4월 5일 식목일 유래 [어떻게 생겨났나]
산림청은 1975년 제30회 식목일부터 시행한 3월 21일부터 4월 20일까지 한 달 동안의 ‘국민 나무 심기 기간’ 을 올해부터 3월 1일부터 4월 말까지 두 달 동안으로 늘리는 것과 함께 전국 각 지역별로 세분화했다. 그러나 식목일은 상징성과 역사성을 고려해 종전대로 4월 5일이다.

산림청이 정한 지역별 식목 기간은 △남부 지역(제주•광주•부산•울산•전남•경남) 3월 1일부터 4월 10일 △중부 지역(대전•충남•충북•전북•경북•대구) 3월 10일부터 4월 20일 △북부 지역(서울•인천•경기•강원•북한) 3월 20일부터 4월 말까지. 산림청은 “기후 온난화의 영향으로 2∼3월 평균 기온이 예년보다 2∼3도 높아 나무 심는 시기를 앞당기게 됐다.”고 말했다.


[4월 5일 식목일은 어떻게 정해졌을까?]
일본 식민지로로부터 광복된 다음 해인 1946년 정부는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룬 날(문무왕 17년 2월 25일)과 조선의 성종이 선농단(선농단)에서 직접 논을 경작한 날(양력 4월 5일)을 기원으로 해서 식목일을 정했다. 따라서 식목일은 우리 민족의 역사와 농림 사상이 깃든 매우 뜻깊은 날이다. 또 계절적으로도 나무를 심는 기간이어서 이날을 식목일로 정하게 됐다.

제1회 식목일 행사는 서울 사직공원에서 있었다(1946. 4. 5). 신라는 태종 무열왕 7년에 3국을 통일했다. 분열된 우리 민족을 처음으로 통일한 해였다. 그러나 신라는 독자적인 힘으로 3국을 통일하지 못하고 당나라의 힘을 빌려서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그래서 당나라는 백제의 옛 땅에 웅진도독부를, 고구려 옛 땅에는 안동도호부와 9도독정을 설치하여 고구려와 백제의 옛 땅을 통치했다. 뿐만 아니라 신라를 계림대도독부라 이름 짓고 지배하려 했다.

이에 신라 국민은 문무왕 10년부터 8년간 당나라와 싸웠다. 그리하여 문무왕 17년(서기 677년) 2월 25일 당나라 세력을 완전히 밀어내고, 3국 통일을 이룩했다. 문무왕 17년 2월 25일이었다.

그런데 이날을 양력으로 치면 4월 5일이다. 앞에서 설명한 대로 이날은 조선의 성종 대왕이 서울 동대문 밖 선농단에 제사를 올리고 뽕나무밭을 직접 가꾸기도 한 날로, 우리 나라의 농업과 임업 사상 매우 중요한 날이다. 이후 1910년 조선 말 순종은 친경제 때 손수 나무를 심은 것이 직접적인 유래가 됐다. 일본 제국 식민지 시대엔 4월 3일이 식목일이었다.


옛날에도 나무를 심었나요??
신라시대에 최치원선생이 경남 향양군수로 재직할 때 바람피해와 재해방지를 위해 나무를 심었다는 기록이 우리나라 조림역사의 최초가 아닌가 합니다. 한편 고려시대에는 풍수사상(風水思想)의 영향 아래 수도가 있는 개성 송악산의 땅기운(地氣)을 보호하기 위해 소나무를 심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조선시대 이전까지는 주로 바람 피해를 예방하거나 땅기운이 약한 곳에 나무를 심어 보호해 주려는 비보(裨補)조림을 통해 숲을 만들었습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서는 경국대전이라는 법에 나무를 심고 가꾸는 조항을 넣어 백성들의 나무가꾸기를 강조하고 산림관리를 강화하였습니다. 이렇게 나무심기를 강조한 이유는 바다쪽에서 침입하는 외적을 물리칠 병선(兵船)과 당시 국가경영에 필요한 세금이었던 쌀 등 공물(貢物)의 운반에 필요한 선박을 만들기 위한 재료를 확보하기 위해서였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조선왕조는 가구도료로서의 옻나무, 종이를 만드는데 쓰이는 닥나무, 누에를 치는 데 쓰이는 뽕나무 및 유실수 등 생활에 필요한 유용수종을 심고 관리하는데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이밖에도 흉년의 식량부족을 대비하기 위해 상수리나무와 밤나무 등을 심고 가꾸웠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죠.

이렇게 우리 선조들의 나무심기는 선박, 건축재, 연료재, 도구재료, 구황작물 등 경제적으로 유용한 목재 및 산림부산물의 지속적인 확보라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쏟았습니다. 즉, 나무를 심어 자연력을 복원함으로써 인간생활에 유익하고 윤택한 환경을 조성하려 하였던 것입니다.



★ 숲의 혜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숲의 혜택중에서 돈을 받고 파는 임산물이외의 것을 공익적 기능이라 합니다. 우리나라 숲의 공익적 기능을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면 2000년도를 기준으로 한해동안 그 가치가 무려 50조원에 달합니다. 이는 국민총생산의 10%에 상당하는 금액이며, 국민 한 사람마다 106만원에 상당하는 혜택을 드린것입니다.
 

전체 숲이 1년동안 베푸는 혜택 : 국민총생산의 10%상당
국민 한 사람에 돌아가는 혜택 : 106만원 상당

깨끗한 물과 맑은 공기를 선사합니다.
쾌적한 쉼터를 제공합니다.
새와 짐승의 보금자리 입니다.





★ 나무 종류 (일부만;;)

국화과
- 더위지기, 흰더위지기

나도밤나무과
-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낙우송과
- 메사쉐콰이아, 삼나무, 금강송

노린재나무과
- 섬노린재, 검노린재, 노린재나무, 민노린재나무, 흰노린재, 쭉동백꽃, 때죽나무, 들메나무, 물들메나무, 물푸레나무, 쇠물푸레나무, 좀쇠물푸레, 긴잎이팝나무, 이팝나무, 광나무, 당광나무, 둥근잎광나무, 제주광나무, 상동잎쥐똥, 왕쥐똥, 좀쥐똥나무, 쥐똥나무, 털쥐똥나무, 둥근잎섬쥐똥나무, 산쥐똥나무, 가시은계목, 구골나무, 박달목서, 박달암계목, 미선나무, 분홍미선, 상아미선, 푸른미선, 개나리, 산개나리, 만리화, 장수만리화, 라일락, 수수꽃다리, 정향나무, 털개화나무, 흰정향나무, 흰털개회나무, 꽃개화나무, 짝짝래나무, 영춘화, 거제수나무, 검은재나무

노박덩굴과
- 줄사철나무, 회목나무, 버들회나무, 청다래넌출, 푼지나무, 그늘노박덩굴

녹나무과
- 고구마생강나무, 고로쇠생강나무, 둥근잎생강나무, 생강나무, 털생강나무, 감태나무, 백동백나무, 보안목, 비목나무, 녹나무, 생달나무, 월계수, 센달나무, 왕후박나무, 후박나무, 식나무, 참식나무, 새덕이, 생덕기, 흰새덕이, 까마귀쪽나무, 육박나무, 털조장나무, 뇌성목, 가마귀쪽나무, 구룬비

느릅나무과
- 검팽나무, 둥근잎핑나무, 섬팽나무, 왕팽나무, 자주팽나무, 팽나무, 느릅나무, 비술나무, 둥근참느릅, 참느릅나무, 긴잎느티나무, 느티나무, 둥근잎느티나무, 좀참느릅, 난티나무, 당느릅, 민드릅, 시무나무, 노랑팽나무, 긴잎풍게나무, 풍게나무, 푸조나무

능소화과
- 개오미자, 꽃개오동, 미국노나무, 능소화

다래나무과
- 개다래, 쥐다래, 다래, 넓적다래, 녹다래, 양다래, 털다래,섬다래

단풍나무과
- 괭이신나무, 붉신나무, 신나무, 고로쇠나무, 긴고로쇠, 붉은고로쇠, 산고로쇠, 왕고로쇠, 집께고로쇠, 털고로쇠, 산겨릅나무, 부게꽃나무, 시닥나무, 청부게꽃, 내장단풍, 단풍나무, 아기단풍, 털단풍, 네군도단풍, 자주네군도단풍, 중국단풍, 넓은고로실나무, 당단풍, 모미지나무, 산단풍, 색단풍, 서울단풍, 왕단풍, 좁은단풍, 참단풍, 털참단풍, 세열단풍, 야촌단풍, 홍단풍, 우산고로쇠, 섬단풍, 갯대추, 복자기, 복장나무, 젖털복자기, 은단풍

담팔수과
- 담팔수

대극과
- 굴거리나무, 좀굴거리, 예덕나무, 당유동, 유동, 일본유동, 광대싸리, 사람주나무, 인디아나폴리스레드, 크로톤, 포인셋티아, 오구나무

돈나무과
- 돈나무, 섬음

돌매화나무과
- 돌매화나무, 암매

두릅나무과
- 황칠나무, 송악, 팔손이, 가는잎음나무, 엄나무, 음나무, 털음나무, 땅두릅, 오가나무, 섬오가나무, 서울오갈피, 오갈피나무, 지리산오갈피, 가시오갈피나무, 민가시오갈피, 털오갈피, 두릅나무, 둥근잎두릅, 애기두릅, 땃두릅나무, 통탈목, 왕가시오갈피

두충과
- 두충나무

때죽나무과
- 좀쪽동백, 흰좀쪽동백, 나래쪽동백

마편초과
- 좀작살나무, 민작살, 송금나무,왕작살, 작살나무, 흰작살, 거문누리장나무, 누리장나무, 털누리장나무, 순비기나무, 좀목형, 층꽃나무, 개새비나무, 새비나무, 좀새비나무, 목형

매자나무과
- 매발톱나무, 섬매발톱나무, 섬매자나무, 왕매발톱나무, 매자나무, 연밥매자나무, 좁은매자나무, 남천, 당매자나무

멀구슬나무
- 참죽나무, 참중나무, 멀구슬나무, 참층나무(참죽나무)

목련과
- 백합나무, 함박꽃나무, 목련, 자목련, 백목련, 떡갈후박, 일본목련, 개오리나무, 오미자, 남오미자, 겹함박꽃나무, 얼룩함박꽃나무, 태산목, 자주목련, 흑오미자

무궁화과
- 부용, 미국부용, 무궁화

무환자나무
- 무환자나무, 모감주나무, 먹넌출

물푸레나무과
- 왕쥐똥나무, 금목서, 목서 영주치자, 개회나무, 긴잎개회나무, 수개회나무, 털긴잎개회나무, 흰섬개회, 섬개회나무

미나리아재비과
- 모란

바늘꽃과
- 후크시아

박쥐나무과
- 박쥐나무, 누른대나무, 단풍박쥐나무

받침꽃과
- 랍매, 자주받침꽃

버드나무과
- 양버들, 은사시나무, 이태리포플러, 내버들, 분버들, 여우버들, 갯버들, 눈갯버들, 긴잎떡버들, 떡버들, 버드나무, 호랑버들, 눈산버들, 새버들, 능수버들, 당키버들, 긴잎사시나무, 사시나무, 은백양, 털사시나무, 당버들, 물황철, 중국황철, 털황철, 현사시, 쭉버들, 왕버들, 털왕버들, 용버들, 긴잎여우버들, 백산버들, 산버들, 미루나무, 수양버들, 좀호랑버들, 고리버들, 붉은키버들, 키버들, 콩버들

범의귀과
- 말발도리나무, 태백말발도리, 털말발도리, 넓은잎바위말발도리, 물참대, 바위말발도리, 각시말발도리, 댕강목, 매화말발도리, 애기말발도리, 지리말발도리, 해남말발도리, 고광나무, 섬고광나무, 털고광나무, 각시고광나무, 애기광나무, 얇은잎광나무, 수국, 나무수국, 덩굴수국, 등수국, 큰나무수국, 꽃산수국, 떡잎산수국, 산수국, 탐라산수국, 바위수국, 구우즈베리, 서양까치밥나무, 개앵도, 누운까치밥나무, 가막까마귀, 개당주, 까치밥나무, 둥근잎말발나무, 바늘까치밥나무, 떡잎수국, 카란트, 가마귀밥여름나무, 꼬리까치밥나무, 명자순

벼과
- 반죽, 오죽, 죽순대, 섬조릿대, 제주조릿대, 이대, 자주이대, 왕대(늦죽), 조릿대

벽오동과
- 벽오동나무

보리수나무과
- 긴보리수, 보리장나무, 좁은잎보리장나무

부처꽃과
- 배롱나무,백일홍, 흰배롱나무

붓순나무과
- 붓순나무

뽕나무과
- 꾸지나무, 닥나무, 애기닥나무, 마주잎당나무, 민꾸지나무, 무화가나무, 가는잎천성과, 모람, 젖꼭지나무, 좁은잎천성과나무, 천성과나무, 가새뽕, 꼬리뽕, 돌뽕나무, 산뽕나무, 섬뽕, 좁은잎뽕, 뽕나무, 처진뽕나무, 꾸지뽕나무, 붉은대산뽕, 애기모람, 왕모람, 구지뽕나무

석류과
- 석류나무

소귀나무과
- 소귀나무, 수매

소나무과
- 전나무, 젓나무, 검은구상, 구상나무, 붉은구상, 푸른구상, 낙우송, 이깔나무, 잎갈나무, 가문비나무, 독일가문비, 종비나무, 배나무, 백송, 반송, 소나무, 소나무, 육송, 적송, 섬잣나무, 잣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장백미인송, 해송, 흑송, 방크스소나무, 일본전나무, 분비나무, 청분비나무, 솔송나무, 붉은가문비, 털종비나무, 히말라야시다, 개잎갈나무, 눈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테에다소나무, 다행송, 곰반송

소태나무과
- 가중나무, 가죽나무, 붉은가죽나무, 소태나무

쐐기풀과
- 거북꼬리, 졸깨잎나무, 좀깨잎나무

시로미과
- 시로미

아욱과
- 흰꽃겹무궁화,흰무궁화

이나무과
- 이나무, 강화산닥나무

인동과
- 말오줌나무, 울릉말오줌대, 덧나무, 지렁쿠, 털딱총나무, 털지렁쿠나무, 딱총나무, 청딱총, 넓은잎딱총, 분단나무, 아왜나무, 분꽃나무, 산분꽃나무, 덧잎가막살나무, 무점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 가막살나무, 가새덜꿩나무, 개덜꿩나무, 덜꿩나무, 털가막살나무, 민백당나무, 백당나무, 불두화, 댕강나무, 맹산댕강이, 꽃댕강, 왜댕강이, 좀댕강나무, 붉은병꽃나무, 삼색병꽃, 색병꽃, 좀병꽃, 흰병꽃, 골병꽃, 병꽃나무, 흰털병꽃, 골짝병꽃, 흰골병꽃, 인동동굴, 잔털인동, 털인동, 각시괴불나무, 괴불나무, 넓은잎산괴블, 절초나무, 털산괴불, 개들쭉, 넓은잎댕댕이, 가는잎댕강이, 구슬댕댕이, 숫명다래, 올개불나무, 왕괴불나무, 지리괴불나무, 청괴불나무, 푸른괴불, 섬분꽃나무, 수국백당, 줄댕강, 계방댕강, 털댕강, 섬댕강나무, 린네풀, 산소영도리, 소영도리, 붉은인동, 산괴불, 섬괴불나무, 올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흰괴불나무, 산홍괴불, 좁은잎홍괴블, 흰등괴불

옻나무과
- 붉나무, 개옻나무, 옻나무, 덩굴옻나무

운향과
- 개산초, 왕좀피, 왕초피, 머귀나무, 민머귀나무, 산초나무, 좀머귀나무, 오수유, 넓은잎황벽, 섬황벽, 털황벽, 황벽나무, 탱자나무, 광귤, 금감, 둥근금감, 둥근알귤, 산유자나무, 유자나무, 귤, 초피나무(제피나무), 전주산초, 좀산초, 쉬나무, 둥근미선

위성류과
- 위성류, 향성류

으름덩굴과
- 여덟잎으름, 으름덩굴, 멀꿀, 방기나무, 새모래덩굴, 털새모래덩굴, 한방기, 댕댕이덩굴

은행나무과
- 은행나무, 엽실은행, 피라밋은행

자금우과
- 백량금, 왕백량금, 산호수, 자금우

자작나무과
- 섬소사나무, 소사나무, 왕소사나무, 섬개서어나무, 왕개서어나무, 서어나무, 개서어나무,긴개서어나무, 개암나무, 난티잎개암나무, 물개암나무, 병개암나무, 참개암나무, 오리나무, 덤블오리나무, 두메오리나무, 물오리나무, 산오리나무, 사방오리나무, 왕사방나무, 개박달나무, 물박달나무, 사스레나무, 왕사스레, 좀고채목, 만주자작나무, 자작나무, 가새사스레, 고채목, 박달나무, 좁은잎박달나무, 금강개박달, 남포개박달, 웅기개박달, 뾰족잎오리, 섬오리나무, 웅기오리, 털오리, 민물오리나무, 물갬나무, 좀사방오리, 까치박달, 긴서어나무, 당개서어나무, 왕서어나무, 새우나무

장미과
- - 가침박달, 털가침박달, 개쉬땅나무, 점쉬땅, 청쉬땅, 조팝나무, 공조팝, 산조팝나무, 갈기조팝나무, 갈퀴조팝, 당조팝나무, 꼬리조팝나무, 일본조팝, 덤블조팝나무, 참조팝나무, 섬국수나무, 나도국수나무, 민나도국수나무, 국수나무, 나비국수, 호접국수, 병아리꽃나무, 겹죽도화, 죽단화, 죽도화, 황매화, 개소시랑개비, 담자리꽃나무, 겨울딸기, 곰딸기, 붉은가시딸기, 수리딸기, 청수리딸기, 긴잎산딸기, 나무딸기, 산딸기, 멍석딸기, 사슨딸기, 청멍석딸기, 복분자딸기, 섬나무딸기, 청복분자딸기, 거문딸기, 꾸지딸기, 노랑장딸기, 섬딸기, 장딸기, 제주장딸기, 덤블딸기, 줄딸기, 국경찔레, 제주찔레, 좀찔레, 찔레, 털찔레, 덩굴인가목, 덩굴장미, 흰인가목, 긴생열귀, 민둥인가목, 민생열귀, 붉은인가목, 생열귀나무, 인가목, 좀붉은인가목, 흰생열귀, 개화당화, 노란해당화, 만첩해당화, 민해당화, 해당화, 장미, 빈추나무, 서양자도, 열녀목, 자두나무, 개살구, 털개살구, 만첩홍매실, 매실나무, 홍매, 흰홍매, 감복사, 만첩홍도, 바래복사, 백도, 복사나무, 숭도, 용인복사, 풀또기, 귀룽나무, 서울귀롱, 치빛귀롱, 털귀롱, 흰귀롱, 사구라나무, 왕벗나무, 제주벗나무, 올벚, 가는잎벚나무, 벗나무, 사옥, 잔털벚나무, 겹벚나무, 털벚나무, 꽃벚나무, 분홍벚, 산벚나무, 왕산벚, 개벗나무, 당귤나무, 처진개벚나무, 털개벚, 산이스라지, 산옥매, 앵두나무, 옥매, 자엽앵도, 가새잎산사, 넓은잎산사, 산사나무, 자작잎산사, 좁은잎산사, 털산사, 홍가시나무, 비파나무, 긴잎다정큼나무, 다정큼나무, 둥근잎다정큼나무, 모과나무, 명자나무, 풀명자, 울산사, 피라칸사, 능금, 사과나무, 아그배나무, 제주아그배, 동배나무, 민야광나무, 야광나무, 털야광나무, 금강산돌배, 남해배, 문배나무, 산돌배, 참배나무, 청실리, 취앙네, 털산돌배, 돌배나무, 콩배나무, 꼭지윤도리, 떡윤도리, 민윤오리나무, 윤노리나무, 좀윤노리, 넓은잎당마가목, 당마가목, 녹마가목, 마가목, 왕털마가목, 잔털마가목, 털팥배, 팥배나무, 둥근잎개야광나무, 섬개야광나무, 가는잎조팝, 인가목조팝나무, 털인가목조팝, 설악아구장, 아구장나무, 초평조팝, 떡조팝나무, 산국수나무, 양국수, 중산국수나무, 물싸리, 흰물싸리, 섬산딸기, 흰곰딸기, 노랑병꽃, 왕용가시, 용가시나무, 털용가시, 흑산가시, 긴돌가시나무, 돌가시나무, 홍돌가시, 시베리아살구, 만첩풀또기, 북개벚지, 산개벚지, 개벚지나무, 만첩개벚, 수양벚나무, 섬벚나무, 신양벚나무, 양벚나무, 이스라지, 털이스라지, 이노리나무, 아광나무, 홍개불나무, 산당화, 개야광나무, 서부해당화, 꽃아그배나무, 채진목, 차빛당마가목, 흰털당마가목, 긴잎밭배, 긴팥배, 벌배나무, 왕잎밭배

조록나무과
넓은잎조록나무, 조록나무, 납판화, 송광납판화, 히어리, 풍년화, 속리말발도리,모리스풍년화

종려과
- 관음죽, 종려죽, 수종려, 왜종려, 와싱톤야자수

주목과
- 눈주목, 설악눈주목, 주목, 회솔나무, 비자나무, 개비자나무, 눈개비자나무

쥐방울덩굴과
- 등칡

지치과
- 송양

진달래과
- 가솔송, 흰가솔송, 만병초, 홍만병초, 노랑만병초, 꼬리진달래, 반들진달래, 왕진달래, 진달래, 털진달래, 한라산진달래, 흰진달래, 산철쭉, 흰산철쭉, 제주참꽃, 참꽃나무, 털참꽃나무, 영산홍, 철쭉, 흰철쭉, 멧철쭉, 좀철쭉, 흰좀철쭉, 흰참좀철쭉, 담자리참꽃나무, 굵은들쭉, 긴들쭉, 들쭉나무, 산들쭉, 정금나무, 지포나무, 산앵도나무, 백산차, 왕백산차, 좁은잎백산차, 겹산철쭉, 진퍼리꽃나무, 단풍철쭉, 산매자나무, 모새나무, 월귤

차나무과
- 노각나무, 후피향나무, 차나무, 동백나무, 뜰동백, 분홍동백, 애기동백, 흰동백, 떡사스레피, 사스레피나무, 섬사스레피, 섬쥐똥, 우묵사스레피, 빗죽이나무

참나무과
- 구실잣밤나무, 둥근잎구실잣밤나무, 메밀잣나무, 밤나무, 약밤나무, 평양밤나무, 개붉가시, 넓은잎참가시나무, 복가시나무,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흰민종가시나무,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졸갈참, 청갈참, 깃떡갈, 떡갈나무, 떡신갈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떡갈졸참나무, 너도밤나무, 떡갈참나무, 정능참나무, 청졸갈참, 깃참나무, 흰종가시, 가시나무

측백나무과
- 눈측백, 서양측백, 천지백, 측백나무, 애기화백, 편백, 노간주나무, 연필향나무, 가이즈향나무, 향나무, 미국측백나무, 화백, 뚝향나무, 두송, 해변노간주, 곱향나무

층층나무과
- 금식나무, 산딸나무, 준딸나무, 층층나무, 곰의 말채, 말채나무, 아라사말채, 흰말채나무, 산수유, 노랑말채나무

칠엽수
- 칠엽수

콩과
자귀나무, 왕자귀나무, 박태기나무, 민주엽나무, 아자비과즐, 조각자나무, 주엽나무, 실거리나무, 회화나무, 개고삼, 개느삼, 개물푸레, 다름나무, 만녕콩, 부채싸리, 삼색싸리, 조록싸리, 풀싸리, 흰조록싸리, 흰풀싸리, 참싸리, 털나무싸리, 털조록싸리, 해변싸리, 늦싸리, 싸리, 털싸리, 흰싸리, 개풀싸리, 고양싸리, 잡싸리, 갈구리싸리, 칡, 낭아초, 땅비싸리, 민땅비싸리, 큰땅비싸리, 애기등, 등나무, 참등, 흰등, 민둥아까시나무, 아까시나무, 반용골담초, 조선골담초, 좀골담초, 골담초, 족제비싸리, 솔비나무, 긴잎참싸리, 흰참싸리, 꽃싸리, 붉은꽃싸리, 된장풀, 꽃아까시나무

팥꽃나무과
- 백서향, 서향, 원화, 팥꽃나무, 넓은잎팥꽃나무, 삼지닥나무, 큰보리장나무, 민보리수, 왕보리수, 녹보리똥나무, 녹보리수나무, 당보리수, 뜰보리수, 보리밥나무, 봄보리수, 흰서향, 두메닥나무, 산닥나무

포도과
- 왕머루, 머루, 섬머루, 가마귀머루, 새머루, 청까마귀머루, 털새머루, 포도, 가새잎개머루, 개머루, 자주개머루, 털개머루, 담쟁이넝쿨

포포나무과
- 포포나무

푸라탄과
푸라타나스, 단풍버즘, 단풍잎푸라타나스, 미국푸라타나수, 양버즘나무

피나무과
- 털피나무, 탈피, 평안피나무, 피나무, 구주피나무, 둥근잎염주나무, 연밥피나무, 염주나무, 장구밥나무, 좀장구밥나무, 뽕잎피나무, 찰피나무

협죽도과
- 노랑협죽도, 만첩협죽도, 협죽도, 흰협죽도, 마삭줄, 민마삭줄, 백화등

홀아비꽃대과
- 죽절초

화살나무과
- 사철나무, 금사철, 금테사철, 긴잎사철, 무룬나무, 은테사철, 황록사철, 화살나무, 당회잎나무, 삼방회잎나무, 털화살나무, 회잎나무, 자주나래회, 참회나무, 회나무, 나래회나무, 좁은회잎, 참빛살나무, 개노박덩굴, 노랑노박덩굴, 노박덩굴,모엽산등, 털노박덩굴, 해변노박덩굴, 메역순나무, 미역줄나무

회양목과
- 긴잎회양목, 회양목, 좀회양목

현삼과
- 참오동나무, 오동나무

후추과
- 후추등


가래나무과
- 가래나무, 긴 가래나무, 왕 가래나무, 후두나무, 굴피나무, 중국굴피나무, 털굴피나무, 호도나무

가지과
- 구기자나무, 배풍등, 왕배풍등

갈매나무과
- 대추나무, 묏대추, 보은대추, 산대추, 헛개나무, 상동나무, 털상동나무, 망개나무, 살배, 갈매나무, 자래갈매, 좀갈매나무, 참갈매나무, 산황나무, 삼황, 가마귀베개, 털갈매나무

감나무과
- 고욤나무, 감나무, 먹감나무

감탕나무과
- 개회향, 꽝꽝나무, 대팻집나무, 민대팻집나무, 좀꽝꽝나무, 정대팻집나무, 묘오자, 호랑가시, 둥근잎호랑가시나무, 양호랑가시나무, 감탕나무, 가을감탕, 낙상홍, 먼나무,

겨우살이과
- 겨우사리, 동백나무겨우사리, 붉은겨우사리, 꼬리겨우사리, 참나무겨우살이

계수나무과
- 계수나무

고추나무과
- 고추나무, 말오좀떼나무

꼭두서니과
- 중대가리나무, 꽃치자, 천엽치자, 치자나무, 백정화, 수정목, 호자나무, 계요동, 좁은잎계요등, 털계요등

꿀풀과
- 대화백리향, 백리향, 섬백리향, 울릉백리향


출처 : 엠파스 지식

제주삼다수, 2L,... 오뚜기 진라면 매운... 상하목장 유기농 흰... 남양 프렌치카페 카... 고려인삼유통 홍삼 ... 종근당건강 오메가3... 요이치 카링 유무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