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무제표

분식회계 분식회계 분식회계란 기업이 회사의 실적을 좋게 보이기 위해 고의로 자산이나 이익 등을 크게 부풀려 회계장부를 조작하는 것을 말한다. 허위 매출을 기록한다든지 비용을 적게 계상하거나 누락시키는 등 기업 경영자가 결산 재무제표상의 수치를 고의로 왜곡시키는 것으로 분식결산 이라고도 말한다. 실현하지 않은 매출의 계상, 자산의 과대 평가, 비용과 부채의 과소계상 등의 방법을 쓴다. 분식결산은 불황기에 회사의 신용도를 높여 주가를 유지시키고 자금조달 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주 하도급업체 채권자 등에 불이익을 줄 수 있다. 분식결산은 회사의 재무상태가 거짓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투자자나 채 권자들의 판단을 흐리게 할 수 있어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 분식결산을 막기 위해 회사는 감사를 둬야하고 외부감사인.. 더보기
[재무제표] 기본용어정리 (PER/EPS/PBR/BPS/ROE/ROA) 1. PER (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 기업의 순이익, 현재의 시가총액까지 버는데 걸리는 시간 PER 5 : 1주당 1년에 20%의 수익 PER 10 : 1주당 1년에 10%의 수익 1주당 가격이 1만원이라고 할때, 20%는 2000원이 된다 (예) 현재 시가총액이 1조인 기업이 1년에 벌어들이는 순이익이 2000억일때, 시가총액 1조원까지 모으는데 걸리는 시간은 5년 이며, 이때의 PER는 5 이다. 순이익이 500억일때는 20년이 걸리므로 PER는 20 이 된다 ◈ 일반적으로 기업에서는 PER=10% 가 기본이라고 생각 한다. PER는 평균 11~13 사이이나 우리가 매수하기 좋은 주식들은 PER=5~8 사이가 좋다. ◈ 주가를 EPS로 나누면 주식 하나가 1년동안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