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금액 숫자를 한자로 표기할 때 수표 등에서 금액을 한자로 기입할 때는, 예를 들어 숫자 1을 "一" 이렇게 쓰면 위조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일을 壹 이런 글자로 대체하여 사용합니다. 그러나 한자 획의 구조상 변조하기 힘든 한자는 그대로 씁니다. 예를 들어 4는 四 그대로 씁니다. 다음 표와 같습니다. 零 : 영 壹 : 일 (一) 貳 : 이 (二) 參 : 삼 (三) 四 : 사 伍 : 오 (五) 六 : 육 七 : 칠 八 : 팔 九 : 구 拾 : 십 (十) 百 : 백 阡 : 천 (千) 萬 : 만 億 : 억 三(삼)자에 획을 더하면 五(오)로 보이기에, 안전상 伍(오)로 쓰는 식입니다. 壹, 貳, 參, 伍, 拾, 阡 이런 한자가 인명 같은 고유명사에 사용되었다면 이 글자 그대로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불편하다고 해서 參 을 三 이라고 쓰면.. 더보기
不 과 非 의 차이점 100%는 아닙니다만 不의 뒤에는 보통 동사나 형용사가 오고 非의 뒤에는 명사가 옵니다. 不의 뒤에 동사나 형용사 不正(부정) : 바르지 않다 不老(불로) : 늙지 않는다 (늙지 않았다) 不誠實(불성실) : 성실하지 않다 非의 뒤에는 명사 非常(비상) : 평상시가 아니다, 보통이 아니다 非凡(비범) : 평범한 것이 아니다 非僧非俗(비승비속) : 중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다 이와 같이 풀이가 달라지게 되지요. 不老草(불로초)에서 不老는 '늙지 않는다'인데, 이것을 非를 넣어서 非老라고 한다면 늙지 않는 게 아니라 '노인이 아니다' 또는 '늙음이 아니다'가 됩니다. 더보기
이름에 쓰지 않는 한자는? 이름에 쓰이는 한자는 대법원에서 정한 인명용 한자가 있고 성씨 별로 한자의 획수에 따라 쓰지 않는 자가 있으며 이름자로 쓰기를 꺼리는 불용문자가 있습니다. 많이 쓰이는 자가 아니라 쓰지 않아야할 불용문자에 대해 알아두시는 것이 더 유용한 지식이 될 것입니다. 쓸 수 있는 자가 수없이 많은데 굳이 불용문자를 쓸 이유가 없습니다. 불용문자의 종류 1. 음이나 훈이 부적합한 교육용 한자 대법원 제정 인명용한자에는 교육용한자 1,800자가 포함되어 있어 인명으로 쓰기에는 독음이나 훈이 부적합한 자가 많습니다. 예컨데 惡, 凶, 死, 哭 등과 骨, 怪, 橘, 惱 등은 뜻이나 음이 부적합합니다. 2. 자연의 이름이라 피하는 글자 天, 地, 日, 月, 星, 春, 夏, 秋, 冬, 金, 銀, 石, 山, 江 등은 특별하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