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가 밝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목욕 후에 새 옷으로 갈아입는데, 우리는 이를 '설빔'이라 합니다. 조상이나 어른 앞에 깨끗한 마음으로 새해를 맞이하는 뜻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 뒤, 젊은 사람은 어른에게 세배를 합니다. 왜 세배를 할까요?
하늘의 신에게 무사고를 기원하며 절하던 것이 어느덧 어른에게 존경심을 나타내는 풍속으로 변한 것입니다.
새해 아침이 되면, 각 가정에서는 안방에 제사상을 차려 놓고 조상 앞에 한 해의 시작을 알리고 가정의 평안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이를 '차례'라고 합니다.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 뒤에는 세배를 합니다. 가족에게만 하는 것이 아니고, 평소 존경하는 스승이나 어른을 찾아뵙고 인사를 드리기도 합니다. 먼 곳에 사는 친척에게는 대개 정월 보름(15일)까지 찾아가 세배를 드리면 예의범절에 어긋나지 않는 것으로 여깁니다.
세배의 유래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절하는 풍속과 관계가 있습니다.
절은 공경의 뜻으로 무릎을 꿇고 몸을 굽혀 고개를 숙이는 우리의 전통적 예의 표현입니다. 고구려에는 무릎을 꿇어 절하는 풍습이 있었고, 부여에서도 여럿이 모여 있을 때는 서로 절하는 예절이 있었습니다.
특히 해맏다 정월 초하룻날에는 서로 인사를 나누고 일월신에게 절함으로써 한 해의 무사함을 기원하였습니다. 이것이 세배의 유래라 말할 수 있습니다. 무사고 기원이 어느덧 존경을 나타내는 의미로 변하게 된 것입니다
세배:
세배는 섣달 그믐께나 정초에 친족과 웃어른을 찾아가서 문안하는 뜻으로 올리는 의례적인 인사다. 새해를 맞이하여 정월 초하루를 시작으로 정초에 하는 세배를 '새세배'라 하고, 섣달 그믐날께에 한 해가 저물어감을 아쉬워하며 올리는 세배를 '묵은세배'라고 한다.
설날의 세배는 새해를 맞이하여, 심신을 일신하고 새출발을 다짐하는 뜻이 담기어 있어서, 세수를 하고 새옷으로 갈아 입고 나서 온갖 축원을 얹어 인사를 올리게 된다. 이때에는 어른께 절을 올리면서 속에 간절한 축원을 담되 입으로 그 축원을 말하기도 한다. '만수무강하십시오.', '백수상수하십시오.', '금년에는 사업이 더욱 번창하십시오.' 등 좋은 말씀을 올리고, 절을 받는 어른은 아랫사람에게 듣기 좋은 덕담을 내리어 화답한다.
섣달 그믐의 '묵은세배'는 하루해가 저문 뒤에 올리는 것이 보통인데, 송년(送年)의 인사와 아울러 지난 1년 동안 돌보아 준 은공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으로 올린다. 새해의 세배는 먼저 가족간에 올리고 나서 조상에 차례를 올리는 것이 보통이다. 동네의 웃어른을 찾아가서 세배를 올릴 때는 새해 차례를 올리고 나서, 상대방 집의 행사가 끝나 어른께서 세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을 때를 겨냥하여 일찍 올리는 것이 예의이다.
새해를 맞아 가정에서 웃어른께 세배를 올리는 외에, 조정에서는 원단에 조하(朝賀)의 의례로서 신하가 임금을 찾아가 뵙고 예를 올리었고, 국가나 정당·단체· 회사 등에서도 이에 준하여 아랫사람들이 웃어른을 찾아 세배를 드린다. 또 군주는 천지일월(天地日月)에 절을 하는데, 여기에는 기곡축년(祈穀祝年)의 의미가 담겨 있다.
웃어른을 찾아 세배를 하고 다니는 사람을 '세배꾼', 세배꾼에게 차려 내리는 음식상을 '세배상', 세배한 아이들에게 웃어른이 용돈으로 내리는 돈을 '세뱃돈'이라고 한다. 또 새세배는 연초에 바빠서 어른을 찾아뵙지 못했을 때는, '세배는 미나리꽃이 필 때까지'라는 말처럼 시기가 늦어지더라도 꼭 챙겨서 하는 것이 예의였다.
세베의 전파:
중국에서 시작돼 점차 우리나라와 일본, 베트남 등으로 퍼져 나갔다. tourrain 문제제기
설날 어른들을 찾아 뵙고 세배를 드리면 덕담과 함께 내어주던 세뱃돈. 설날 웃어른께 인사를 하고 답례로 받는 세뱃돈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에서도 고루 찾아볼 수 있는풍습인데, 중국과 일본은 우리와 달리 봉투에 돈을 넣어준다.
새해 첫 날 세뱃돈을 주는 풍습은 중국에서 시작돼 점차 우리나라와 일본, 베트남 등으로 퍼져 나갔다.
① 중국: 결혼하지 않은 자녀에게 돈을 많이 벌라는 뜻으로 붉은색 봉투에 약간의 돈을 넣어준다. 붉은색을 행운의 색깔로 생각한 중국인들은 새해 첫출발에대단한 가치를 부여했던 것이다.
② 베트남 : 중국의 풍습이 전해져 빨간 봉투에 새돈으로 소액 지폐를 넣어주는 '리시'라는 관습이 행해지고 있다(세배는 받지 않는다).
③ 일본 : '에도'시대에 도시에서만 행해지다가 고도 경제 성장시대인 60년대 이후부터 전국적으로 행하여졌다. 역시 봉투에 넣어 준다.
하늘의 신에게 무사고를 기원하며 절하던 것이 어느덧 어른에게 존경심을 나타내는 풍속으로 변한 것입니다.
새해 아침이 되면, 각 가정에서는 안방에 제사상을 차려 놓고 조상 앞에 한 해의 시작을 알리고 가정의 평안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이를 '차례'라고 합니다.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 뒤에는 세배를 합니다. 가족에게만 하는 것이 아니고, 평소 존경하는 스승이나 어른을 찾아뵙고 인사를 드리기도 합니다. 먼 곳에 사는 친척에게는 대개 정월 보름(15일)까지 찾아가 세배를 드리면 예의범절에 어긋나지 않는 것으로 여깁니다.
세배의 유래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절하는 풍속과 관계가 있습니다.
절은 공경의 뜻으로 무릎을 꿇고 몸을 굽혀 고개를 숙이는 우리의 전통적 예의 표현입니다. 고구려에는 무릎을 꿇어 절하는 풍습이 있었고, 부여에서도 여럿이 모여 있을 때는 서로 절하는 예절이 있었습니다.
특히 해맏다 정월 초하룻날에는 서로 인사를 나누고 일월신에게 절함으로써 한 해의 무사함을 기원하였습니다. 이것이 세배의 유래라 말할 수 있습니다. 무사고 기원이 어느덧 존경을 나타내는 의미로 변하게 된 것입니다
세배:
세배는 섣달 그믐께나 정초에 친족과 웃어른을 찾아가서 문안하는 뜻으로 올리는 의례적인 인사다. 새해를 맞이하여 정월 초하루를 시작으로 정초에 하는 세배를 '새세배'라 하고, 섣달 그믐날께에 한 해가 저물어감을 아쉬워하며 올리는 세배를 '묵은세배'라고 한다.
설날의 세배는 새해를 맞이하여, 심신을 일신하고 새출발을 다짐하는 뜻이 담기어 있어서, 세수를 하고 새옷으로 갈아 입고 나서 온갖 축원을 얹어 인사를 올리게 된다. 이때에는 어른께 절을 올리면서 속에 간절한 축원을 담되 입으로 그 축원을 말하기도 한다. '만수무강하십시오.', '백수상수하십시오.', '금년에는 사업이 더욱 번창하십시오.' 등 좋은 말씀을 올리고, 절을 받는 어른은 아랫사람에게 듣기 좋은 덕담을 내리어 화답한다.
섣달 그믐의 '묵은세배'는 하루해가 저문 뒤에 올리는 것이 보통인데, 송년(送年)의 인사와 아울러 지난 1년 동안 돌보아 준 은공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으로 올린다. 새해의 세배는 먼저 가족간에 올리고 나서 조상에 차례를 올리는 것이 보통이다. 동네의 웃어른을 찾아가서 세배를 올릴 때는 새해 차례를 올리고 나서, 상대방 집의 행사가 끝나 어른께서 세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을 때를 겨냥하여 일찍 올리는 것이 예의이다.
새해를 맞아 가정에서 웃어른께 세배를 올리는 외에, 조정에서는 원단에 조하(朝賀)의 의례로서 신하가 임금을 찾아가 뵙고 예를 올리었고, 국가나 정당·단체· 회사 등에서도 이에 준하여 아랫사람들이 웃어른을 찾아 세배를 드린다. 또 군주는 천지일월(天地日月)에 절을 하는데, 여기에는 기곡축년(祈穀祝年)의 의미가 담겨 있다.
웃어른을 찾아 세배를 하고 다니는 사람을 '세배꾼', 세배꾼에게 차려 내리는 음식상을 '세배상', 세배한 아이들에게 웃어른이 용돈으로 내리는 돈을 '세뱃돈'이라고 한다. 또 새세배는 연초에 바빠서 어른을 찾아뵙지 못했을 때는, '세배는 미나리꽃이 필 때까지'라는 말처럼 시기가 늦어지더라도 꼭 챙겨서 하는 것이 예의였다.
세베의 전파:
중국에서 시작돼 점차 우리나라와 일본, 베트남 등으로 퍼져 나갔다. tourrain 문제제기
설날 어른들을 찾아 뵙고 세배를 드리면 덕담과 함께 내어주던 세뱃돈. 설날 웃어른께 인사를 하고 답례로 받는 세뱃돈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에서도 고루 찾아볼 수 있는풍습인데, 중국과 일본은 우리와 달리 봉투에 돈을 넣어준다.
새해 첫 날 세뱃돈을 주는 풍습은 중국에서 시작돼 점차 우리나라와 일본, 베트남 등으로 퍼져 나갔다.
① 중국: 결혼하지 않은 자녀에게 돈을 많이 벌라는 뜻으로 붉은색 봉투에 약간의 돈을 넣어준다. 붉은색을 행운의 색깔로 생각한 중국인들은 새해 첫출발에대단한 가치를 부여했던 것이다.
② 베트남 : 중국의 풍습이 전해져 빨간 봉투에 새돈으로 소액 지폐를 넣어주는 '리시'라는 관습이 행해지고 있다(세배는 받지 않는다).
③ 일본 : '에도'시대에 도시에서만 행해지다가 고도 경제 성장시대인 60년대 이후부터 전국적으로 행하여졌다. 역시 봉투에 넣어 준다.
'전통/예절/법률 > 예절,매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아두면 유용한 나이별 호칭 (0) | 2009.02.20 |
---|---|
명함의 유래와 명함을 건네는 매너에 대해 적어봅니다. (1) | 2008.04.06 |
식탁에서의 매너 (1) | 2008.03.25 |
☆ 나이별 호칭(呼稱) ☆ (0) | 2008.01.27 |
세배할때 올바른 손과 자세 (0) | 200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