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역사/유적

[신라] 김유신의 업적은? 1.백제·고구려 정벌 신라는 6세기 이래 비약적인 팽창을 하여, 고구려에 대항하기 위해 백제와 맺었던 나제동맹을 깨뜨렸습니다. 그러자 백제와 고구려는 서로 연합하여 신라를 위협했고(여제동맹), 신라는 중국(수와 당)과의 연결을 꾀하였습니다. 629년, 신라군이 고구려 낭비성을 공격할 때, 김유신은 적진에 돌입하여 유린함으로써 신라군의 사기를 북돋워 고구려군을 격파하는 데 큰 공을 세우기도 하였습니다. 그의 인생은 바로 이 때 꽃피기 시작한 것이죠. 641년,백제가 신라의 서쪽 40개 성을 함락하고 대량주(지금의 경남 합천이랍니다.)를 점령하자, 신라는 당시 적대국이었던 고구려에 김춘추를 보내 원병을 청하기로 했다가 고구려에 잡혀서 옴짝달싹 하지 못하고 있었죠. 이때 김유신은, 고구려에 억류되었던 김춘추의.. 더보기
선덕여왕 드라마 원작 소설의 결말 미실의 최후 미실은 덕만에게 모든 사람을 잃습니다. 미실을 따르던 사람을 모두 덕만에게 잃습니다. 그리고 왕은 미실을 궁에서 나가라고 합니다. 미실은 결국 최후의 카드를 씁니다. 바로 자신의 아들, 비담 입니다. 비담은 , 왕이 되고 싶어합니다. 미실은 비담을 불러들러 자신을 죽이고 그 명예로 한단계 발전하라고 말합니다 비담은 결국 자신의 어머니인 미실을 죽입니다. 선덕여왕의 최후. 병에 걸립니다. 그리고 그 병이 악화됩니다. 선덕여왕이 병때문에 누워있을 때 비담이 염종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난을 일으킵니다. 바로 이때, 북극칠성의 별 하나가 떨어집니다. 비담은 승리를 확신하나, 유신에게 결국 죽음을 당합니다 이때 덕만도 홀로 병상에 누워 생을 마감합니다. ( 선덕여왕 드라마 원작 소설의 결말입니다,) 더보기
우리가 찾아야 할 간도 1712년 숙종 38년에 청과 조선이 백두산에 세운 정계비입니다. 청과 조선이 세웠다고 하나 사실 청나라가 일방적으로 세운 비나 다름이 없지요. 그런데 이 백두산 정계비에는 '西爲鴨綠, 東爲土門'라는 글귀가 있습니다. 이 서위압록, 동위토문이란 말은 서쪽은 압록강으로, 동쪽은 토문강으로서 분계선을 삼는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나오는 토문강이란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하여 북으로 흐르는 쑹화강의 한 지류인데 백두산 정계비의 말이 사실이라면 토문강의 동쪽인 지금의 연변지방, 즉 중국의 동북지방은 우리 한반도의 차지가 되야 하는 것입니다. 더군다나 이 정계비는 청나라에서 세운것과 다름이 없으니 중국 쪽에서도 간도지방이 우리 영토라는 것을 인정한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그러나 중국 쪽에서는 또 말을 바꾸어 '토문은.. 더보기
[경주] 첨성대가 위치한 곳 [국보31호 경주첨성대(慶州瞻星臺)] 쳐다볼첨(瞻) 별성(星) 돈대대(臺) => 별을 쳐다보는 곳 즉, 천문관측대..입니다. 위치 : 경북 경주시 인왕동 839-1 시대 : 신라시대 찾으셨나요?? 아래 가운데..선덕여중 왼쪽..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던 신라시대의 천문관측대로, 받침대 역할을 하는 기단부(基壇部)위에 술병 모양의 원통부(圓筒部)를 올리고 맨 위에 정(井)자형의 정상부(頂上部)를 얹은 모습이다. 내물왕릉과 가깝게 자리잡고 있으며, 높이는 9.17m이다. 원통부는 부채꼴 모양의 돌로 27단을 쌓아 올렸으며, 매끄럽게 잘 다듬어진 외부에 비해 내부는 돌의 뒷뿌리가 삐죽삐죽 나와 벽면이 고르지 않다. 남동쪽으로 난 창을 중심으로 아래쪽은 막돌로 채워져 있고 위쪽은 정상까지 뚫려서 속이 비어 있다.. 더보기
첨성대의 역사 첨성대 계림을 지나 대릉원 쪽으로 난 길을 따라가면 맞은편에 우아하고 온순한 첨성대가 서 있다.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첨성대처럼 논란이 많은 문화재도 없다. 그것은 첨성대의 쓰임에 관한 이견 때문인데, 어떤 이는 천문관측대였다고 하고, 나침반이 발달하지 못했던 시대에 자오선의 표준이 되었다고도 하며, 천문대의 상징 물이었을 것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첨성대의 의의는 그 자체가 매우 과학적인 건축물이며 돌 하나하나에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다는 데에서 찾아볼 수 있을 터이다.전체적인 외형을 보면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사각형의 2중 기단을 쌓고 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원주형으로 돌려 27단을 쌓아올렸으며, 꼭대기에는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돌을 엮어놓았다 각 석단의.. 더보기
[신라] 첨성대 사용법 첨성대는 실제로 건물 3층정도의 높이입니다. 그리고 중간에 나있는 창의 크기는 가로 세로 1미터라고 합니다. 그 창의 하단 양쪽 끝에는 사다리를 걸 수 있도록 만들어졌는데, 그곳에 사다리를 걸어서 별을 관측하는 일관이 사다리를 타고 첨성대를 오를 수 있도록 만들었답니다. 사진에 표시된 경로를 통해서 첨성대의 꼭대기 부분까지 올랐는데, 경로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아까 말한대로 설치된 사다리를 타고 그림에 표시한 부분까지 올라 그 안으로 들어가면, 첨성대 내부에는 그 창의 아랫부분까지 모래로 채워져 있었답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다시 사다리를 오르면 꼭대기 부분에 도착하는 것입니다, 꼭대기 부분에 도착해서는 위 그림과 같이 앉아서 별을 관측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져 있었고, 그 곳에서 일관이 별을 관.. 더보기
신라왕 계보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신라 역대왕들을 살펴보자!!! 1대 혁거세(赫居世) (B.C.57) : 박, 거서간(居西干 혹은 거세간) 2대 남해(南解, A.D.5) : 박, 차차웅 3대 유리(儒理, A.D.24) : 박, 이사금 4대 탈해(脫解, A.D.57) : 석, 이사금, 토해(吐解). 5대 파사(婆娑, A.D.80) : 박, 이사금, 유리의 둘째 아들. 6대 지마(祇摩, A.D.112) : 박, 이사금, 기미(祇味). 7대 일성(逸聖, A.D.134) : 박, 이사금, 유리의 아들 혹은 일지(日知) 갈문왕의 아들 8대 아달라(阿達羅, A.D.154) : 박, 이사금 9대 벌휴(伐休, A.D.184) : 석, 이사금, 탈해의 2대손으로 아버지는 각간(角干) 구추(仇鄒)이다. 10대 내해(奈解, A.D.1.. 더보기
고구려왕 계보도 고구려왕 계보도(삼국사기에 의거) 해모수═╤═유화부인(하백의 딸) │ 소서노═╤═ 1. 추모(bc37~19 ) ═╤═예씨부인 │ │ ┌┴┐ 2. 유리명왕(bc19~ad18) ═╤═송양왕의 딸 비류 온조 │ ┌─┬─────┬────┬────┼─────┐ 도절 해명 3.대무신왕(무휼) 여진 4.민중왕(해색주) 재사 ═╤═부여태후 (ad 19~ 44) (44~48) │ 갈사국왕녀═╣ ╠═ 원비 ┌──────┼─────┐ 호동 5.모본왕(? ? ? ). 6.태조왕(궁) 7.차대왕(수성) 8.신대왕(백고) (49~53) (54~146) (146~165) (165 ~ 179) │ ┌┴┐ │ │ 막덕 막근 추안 ㅣ ┌────────┬───────────┬─────────────┴─┐ 9.고국천왕(이이모) 발기 ╔═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