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방법

[쯔쯔가무시증] 시기/감염경로/증상/예방법 쯔쯔가무시증은 9월부터 늦가을에 해당하는 11월까지 발병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온으로 각종 진드기와 세균이 12월까지 생존하면서 겨울철에도 꾸준히 발병하는 추세다. 쯔쯔가무시증은 설치류에 기생하는 털 진드기의 유충이 풀잎에 붙어 있다가 우연히 사람을 물어서 걸리게 되는 감염성 질환으로, 진드기의 유충이 피부에 붙어 피를 빨아먹은 부위의 가피(딱지)가 동반된 궤양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10월과 11월에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서 일을 하는 사람 야외 훈련하는 군인 등에서 많이 발생하며 질병 예방을 위한 백신은 없어 법정전염병 제3군으로 지정돼 있다. 야외 작업이나 활동 후 두통, 고열, 오한과 같은 심한 감기증상이 있거나, 벌레에 물진 곳이 있으면 지체 말고 보건소나.. 더보기
★태풍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처법(예방법) 태풍 대비 국민 행동요령 1. 아파트 등 고층 건물의 대형 유리창 파손 방지를 위해 젖은 신문지 등을 창문에 붙이고 접근 금지 2. 집주변 하수구, 노후축대`옹벽`절개지에 대한 사전점검 3. 산사태, 상습침수지역 등 위험지역내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사전 대피 4. 산간계곡, 해수욕장 등에서의 물놀이 및 야영 금지 5. 침수가 예상되는 지하주차장 및 고수부지에 차량 주차 금지 6.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단단히 고정 추가) TV, 라디오, 인터넷을 통한 태풍상황에 관심집중 태풍 대비를 위한 준비물 1. 정전을 대비하여 양초와 손전등을 꼭! 준비 (긴급 연락을 위한) 휴대폰 배터리 충전 2. 만약을 대비해 라면이나 물 등의 비상식량도 챙겨둔다. 더보기
황사에 미리미리 준비하자!! ... 황사 예방법 황사의 예방법은 1. 외출을 최대한 자제 2. 외출 시에는 긴팔을 입고 선글라스나 스카프, 모자, 마스크를 착용한다! 3. 눈의 피로를 줄여주는 옅은 브라운 계열 UV차단 렌즈의 썬그라스를 착용한다! 4. 외출하고 돌아오면 얼굴과 손발은 물론 입 속까지 깨끗이 씻는다! 5. 평소보다 물을 많이 마시고 습도를 유지 6. 집안청소를 자주하고 가능한 자주세탁 하여 섬유의 세균을 없애주어야 한다. (황사로 인해 신체나 섬유에 붙은 각종 세균이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할수 있으므로 아토세이프 섬유청정제를 사용하여 섬유의 균을 확실히 차단하여야 함) 7. 생활주변에 방치된 먼지와 토사를 제거 8. 세안 등은 이중 세안을 한다. 보너스로 황사철 피부관리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황사가 발생하면 흙먼지가 대기를 황갈색으로 오.. 더보기
황사의 피해를 줄이기위한 생활 습관 ◆ 봄철 황사와 호흡기 질환 황 사는 봄철 몽골의 고비사막, 중국의 타클라마칸 사막 및 황하 상류 지대의 흙먼지가 강한 상승기류를 타고 3천~5천m 상공으로 올라가 초속 30m의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까지 날아오는 것으로 황사의 입자크기는 10~100㎛(1㎛는 100만분의 1m)로 흙먼지가 주성분이지만 중국의 산업화로 인한 중금속(실리콘(석영), 알루미늄, 구리, 카드뮴, 납 등) 오염물질이 섞여 있어 눈병, 호흡기 질환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황 사가 날릴 때는 호흡기 질환과 안질에 잘 걸리므로 가능하면 외출을 삼가야 합니다. 특히 아이들은 황사가 날릴 때 외출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피치 못할 사정으로 외출을 할 때는 가능하면 빠른 시간 내로 귀가하고, 외출 뒤에는 대문 앞에서 옷과 머리를 .. 더보기
당뇨병에 도움 되는 생활법&예방법 당뇨병에 도움 되는 생활법 꾸준한 운동 습관 운동을 하게 되면 많은 혈관이 확장되어 좁아진 모세혈관까지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고, 섭취된 칼로리를 적절한 운동으로 소비시켜 모든 신체기능의 균형이 유지된다. 또한 비만을 방지하고, 인슐린에 대한 당 이용률을 증가시키고 혈당을 조절하며 모든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맨손체조, 윗몸 일으키기, 속보, 등산, 수영, 달리기, 줄넘기 등의 유산소 운동을 생활화하고 적당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며 1년에 한 번 정도는 정기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식이요법 제철에 나오는 식품을 먹는 것이 좋으며 된장, 고추장, 김치, 콩나물, 두부, 우거지(시래기) 등도 당뇨에 좋은 식품이다. 외식할 때에도 육류 위주의 식단보다 쌈밥, 비빔밥, 된장찌개 등 우리의 전통 한식을 먹는.. 더보기